자격증안내

국가 자격증
국가에서 인증하는 뷰티 자격증으로는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는 네일 미용사(Nail Technician), 메이크업 아티스트(Make up Artist), 미용장(Master hairdresser), 이용사(Barber), 이용장(Master Barber)과 한국기술자격검정원이 주관하는 미용사(Hairdresser), 피부미용사(Esthetician) 등이 있다.
자격증명 | 내용 |
---|---|
맞춤형 화장품 조제관리사 바로가기 |
‘맞춤형화장품’이란 판매장에서 고객 개인별 피부 특성이나 색, 향 등의 기호, 요구를 반영해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이 화장품의 내용물을 소분하거나 화장품의 내용물에 다른 화장품의 내용물 또는 식약처장이 정하는 원료를 혼합한 화장품으로 맞춤형화장품의 혼합, 소분 업무에 종사하고자 하는 자를 양성하기 위해 실시한다. |
화장품학, 맞춤형화장품조제학 | |
미용사(일반) 바로가기 |
헤어샴푸, 헤어커트, 헤어펌, 헤어세팅, 헤어컬러링 등 미용작업의 숙련도, 정확성 등을 평가한다. |
미용이론, 공중위생관리학, 화장품학 | |
미용사(피부) 바로가기 |
미용사 자격증과 함께 응시인원이 많은 뷰티 자격증 중 하나로 세계적으로 머리, 피부미용, 화장 등의 분야가 세분화되고 있는 추세에 맞춰 전문인력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는 평가다. |
피부미용학, 신체해부생리학, 피부미용기기, 화장품학, 공중위생관리학 | |
미용사(네일) 바로가기 |
주로 손·발톱 관리, 네일 시술·교정, 네일 장식 등의 숙련도를 평가하고, 네일아트가 하나의 전문 분야로 인정받으면서 수요도 꾸준히 늘고 있다. |
네일개론, 피부학, 공중위생관리학, 화장품학, 네일미용기술 | |
미용사(메이크업) 바로가기 |
고객의 나이, 얼굴형, 피부색, 체형, 피부건상상태 등 정보를 파악해 화장품 및 도구선택, 장비사용의 업무 능력을 평가한다. |
메이크업개론, 공중위생관리학, 화장품학 | |
미용장 바로가기 |
미용사 자격증 취득한 뒤 7년이 지나야 응시할 수 있으며, 실기시험은 18.6%의 합격률을 보여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. |
미용개론, 공중보건학, 소독학, 공중위생법규 | |
이용사 바로가기 |
조발(머리를 깎아 다듬음), 세발(머리 감음), 정발(머리 매만짐) 등의 숙련도를 평가한다 |
이용개론, 공중보건학, 소독학, 공중위생법규 | |
체형관리사 바로가기 |
고객의 체중, 체지방, 식습관, 운동량, 주변 환경을 파악하고, 이를 토대로 식이요업, 운동요법, 행동수정요법 등 가장 이상적인 다이어트를 설계하는 전문가로서 운동이나 식이용법을 통해 전체적인 체형이나 신체 특정부분의 균형을 잡아주고 탄력있게 유지?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한다. |
체형관리학 | |
CIDESCO(국제자격증) 바로가기 |
1946년 벨기에서 결성. 스위스 취리히에 국제 CIDESCO 본부가 있으며, 세계 40여개국 가입되어 있어 취업, 개업에 유리하다.(크루즈스파, 호텔스파, 화장품회사, 대학강사, 워킹홀리데이 해외취업 등) |
피부장벽학, 피부과학, 화장품학, 피부기기학, 위생학, 영양학, 직업윤리 |